이때 미진은 갑자기 입을 열었다.“만약 예비 과정에서 박사 과정까지 마치고 싶다면, 서비대에는 확실히 일부 전공의 학생들이 그 기회를 신청할 수 있어, 하지만 문턱이 무척 높거든. 정은아, 넌 대학 떄 뭘 전공했어?”“생물정보학이요.”“생명과학원?” 미진은 태민을 바라보았다.“이건 태민이 네가 더 잘 알 텐데. 생물정보학이라는 전공에 그 기회가 있는 거야?”순간, 수아를 포함한 모든 시선이 태민에게 집중되었다.“어...”태민은 젓가락을 내려놓고 생각했다.“이치대로라면 이 전공은 예비 과정에서 박사 과정까지 마칠 수 있는 기회가 없을 거예요...”수아는 벌떡 일어서서 차갑게 정은을 바라보았다.“사실이 눈앞에 놓여 있는데, 지금 또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거야?!”그러나 미진은 태민의 말에 주의를 기울였다.“태민아, 이치대로라니? 그게 무슨 뜻이야? 또 다른 예외가 있다는 거야?”태민은 고개를 끄덕였다.“네. 매년 생명과학원에는 '조건식 모집 정원'이 1~2개씩 있는데, 국제올림픽학과 경기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학생에게 주어질 거예요.”“조건식 모집 정원이 뭐야?”“간단히 말해서, 금메달 조건을 갖추고 동시에 기타 관련 자격에 부합하는 학생은 학원과 조건을 이야기할 수 있어요. 예를 들면 전액 장학금, 대학원 진입 자격 등등. 어차피 조건을 제가하기만 하면, 학원은 종합적으로 고려할 거예요. 물론 마지막에 동의할지 말지는 학원에게 달렸죠.”“즉, 이 조건이 있다면, 그 자격을 얻을 수 있는 거야?”“그렇죠, 하지만 이건 매우 어려워요. 박사 과정에 진입할 기회는 누구나 원하지만, 이런 제의를 받아들이는 학원이 매우 적거든요. 제가 알기로는, 최근 10년, 심지어 20년 동안 생명과학원이 준 박사 과정 진입 자격은 단 두 개뿐이었어요. 하나는 송지혜 교수님의 제자 진일민이었고, 다른 하나는 오미선 교수님의 제자인 것 같은데. 이름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요. 그 여학생은 그해 올림픽 물리, 화학, 생물, 정보학 등 4개 학과 경기대회에서
Read more